띠가 바뀌는 날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12간지에 바탕을 둔 띠가 바뀌는 날짜 기준과 시점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더불어 음력 설날과 양력 설날의 차이 그리고 띠 문화가 있는 나라와 우리나라에서 띠별 동물에 대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생각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또한 특별한 띠라고 불리는 색깔별 띠에 대해서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띠 바뀌는 날
양력의 연도를 기준으로 띠가 바뀐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도 많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띠가 바뀌는 날은 바로 음력 1월 1일입니다.
양력 설날과 다르게 음력 설날은 매번 날짜가 달라지기 때문에 언제 띠가 바뀌는지 기준이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양력상 1월 1일은 신정이라고 부르며, 음력으로 1월 1일은 구정으로 부릅니다. 띠가 바뀌는 기준은 음력상 1월 1일인 신정입니다. 빨간 휴일이 포함된 설날 명절이 바로 띠가 바뀌는 시점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하지만, 명리학에 기반을 두고 있는 사주에서는 절기상 입춘을 띠가 바뀌는 날이라고 보기도 합니다. 따라서 1월~2월에 태어난 사람의 경우 두 가지의 띠 바뀌는 날 기준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띠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사주가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음력 설날 양력 설날 차이
음력설날은 구정(舊正), 양력 설날은 신정(新正)이라고 부릅니다. 한자의 뜻에서 알 수 있듯 구정은 옛 설날, 신정은 새 설날을 뜻합니다.
과거 우리나라는 농경사회에 기반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음력을 기준으로 날짜를 계산했습니다. 따라서 음력의 1월 1일을 설날로 기념했으며, 이는 과거의 설날로 구정이라고 부릅니다.
이후 1896년을 기준으로 서구의 양력이 공식적으로 사용되면서, 양력 1월 1일도 설날로 기념하기 시작했습니다. 즉, 음력과 양력의 기준으로 2번의 설날이 생긴 것입니다. 따라서 이를 구분하기 위해 구정과 신정으로 구분해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띠 문화가 있는 나라
12가지의 띠 문화는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주로 발견됩니다. 대표적으로는 우리나라와 중국 그리고 일본, 베트남, 몽골, 네팔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완전히 똑같지는 않습니다. 문화에 따라 조금씩 변형되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일본은 돼지 대신 멧돼지를 사용하며, 인도는 호랑이 대신 사자를 사용하며, 용 대신에 신화 속의 뱀인 '나가'를 사용합니다. 태국도 돼지 대신 코끼리를 사용합니다. 베트남에서는 토끼대신 고양이를, 양대신 염소를 사용합니다. 각 나라의 생활방식과 종교와 문화적 차이가 반영된 것입니다.
우리나라 띠별 상징 동물
우리나라의 12가지의 띠는 동물마다 사람들의 보편적인 인식이 있으며 이 때문에 특정 띠에 출산율이 높아지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백말띠는 기가 세다던가, 호랑이띠 중에서 백호띠는 강한 성격을 가졌을 거라는 인식입니다. 반대로 황금 돼지띠 혹은 용띠에는 출생률이 다른 띠의 해보다 높아지기도 합니다.
아래는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우리나라 띠별 인식입니다. 쥐띠, 소띠, 호랑이띠, 토끼띠, 용띠, 뱀띠, 말띠, 양띠, 원숭이띠, 닭띠, 개띠, 돼지띠별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띠 | 인식 |
쥐띠 | 지혜, 부지런함, 재물 |
소띠 | 성실, 근면, 인내 |
호랑이띠 | 용맹, 카리스마, 열정 |
토끼띠 | 온화함, 재치, 평화 |
용띠 | 권위, 성공, 행운 |
뱀띠 | 지혜, 신비로움, 지략 |
말띠 | 자유로움, 열정, 활발함 |
양띠 | 온화함, 예술성, 배려심 |
원숭이띠 | 재치, 기지, 우머 |
닭띠 | 성실, 규칙적, 자존심 |
개띠 | 충성, 정의, 믿음 |
돼지띠 | 풍요로움, 복, 순수함 |
특별한 띠?
연도별로 띠는 특별한 색깔이 있습니다. 이 색은 푸른색, 붉은색, 황금색, 하얀색, 검은색으로 정해지며, 이 색깔에 따라 청룡띠, 청사띠, 황금돼지띠, 적말띠, 흑묘띠 등의 별칭이 정해집니다. 내 띠의 색깔 또는 가족들의 띠 색깔을 알고 싶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연도별 띠 색깔 순서 의미(푸른 붉은 황금 하얀 검은 동물띠)
연도별 띠 색깔 순서 및 의미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2간지에 따라 부여된 동물띠(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에 붙는 색깔(푸른, 붉은, 황금, 하얀, 검은)을 연
docjab.tistory.com
궁금한 출생연도를 검색해 보시면 쉽게 띠와 해당 연도의 띠 색깔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포스팅 요약
이상으로 띠가 바뀌는 날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매년 음력 1월 1일 설날에 띠가 전환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알려드린 음력 설과 양력 설의 차이 그리고 다른 나라의 띠문화, 띠별로 가진 인식과 출생률의 차이 등에 대해서도 흥미롭게 읽으셨길 바라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띠가 바뀌는 날은 음력 설날입니다.
- 음력 설날과 양력 설날은 서로 다른 기준의 새해입니다.
- 12지 띠 문화가 있는 나라는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입니다.
- 띠별로 상징하는 동물이 있으며, 보편적인 인식이 있습니다. 따라서 띠에 따라 그 해의 출생률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 태어난 연도의 띠에는 상징하는 동물과 색이 있으며, 이에 따라 특별한 띠라고 여기는 특정 띠가 존재합니다.
- 띠가 의미하는 동물별로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인식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더욱 유익한 포스팅으로 또 찾아오겠습니다.
by 독보적 잡동사니
'상식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니트 스웨터 까끌거림(울 까슬거림 간지러움 가려움 원인 제거 방법) (1) | 2024.12.24 |
---|---|
노스페이스 눕시 패딩 종류(Northface Nuptse 1992 1996 노벨티 차이 추천 사이즈) (3) | 2024.12.07 |
우체국 우편 서류 봉투(종류 판매 가격 규격 주소 쓰는법 소봉투 중봉투 대봉투) (2) | 2024.11.19 |
남자 온도별 옷차림 추천(요즘 날씨 계절 기온별 코디 추천) (1) | 2024.11.06 |
호우주의보 호우경보 차이(호우특보 종류 강한비 약한비 집중호우 국지성호우) (0) | 2024.10.23 |
댓글